2020. 6. 29. 23:31ㆍ편하게 삽시다.
운전자들이 꼭 알아야 하는 상식
1. 주차장에 차를 주차시켜 놨는데 누군가 내차를 긁고 뺑소니 친 경우 대처 방법.
=> 주차장법 17조, 19조에 의거하여 유료주차장이나 출입구에 차단기가 있는 주차장 일 경우
주차관리인이 혐의 무죄를 입증 못하고 범인을 잡지 몰할 경우 주차관리 업체측에서 100% 차양보상을 실시해야함.
마트의 경우 무료 주차장이라도 가능 - 물품대금에 주차비가 포함되어 있다고 보기 때문.
아파트, 공영주차장, 마트, 유료주차장에 해당됩니다.
관련 법률
주차장법 법률 제16831호
제17조(노외주차장관리자의 책임 등)
① 노외주차장관리자는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주차장을 성실히 관리ㆍ운영하여야 하며, 주차장 이용자의 안전과 시설의 적정한 유지관리를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. <개정 2019. 12. 24.>
② 노외주차장관리자는 주차장의 공용기간(供用期間)에 정당한 사유 없이 그 이용을 거절할 수 없다.
③ 노외주차장관리자는 주차장에 주차하는 자동차의 보관에 관하여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게을리하지 아니하였음을 증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자동차의 멸실 또는 훼손으로 인한 손해배상의 책임을 면하지 못한다.
[전문개정 2010. 3. 22.]
제19조(부설주차장의 설치)
① 「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」에 따른 도시지역, 같은 법 제51조제3항에 따른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관리지역에서 건축물, 골프연습장, 그 밖에 주차수요를 유발하는 시설(이하 "시설물"이라 한다)을 건축하거나 설치하려는 자는 그 시설물의 내부 또는 그 부지에 부설주차장(화물의 하역과 그 밖의 사업 수행을 위한 주차장을 포함한다. 이하 같다)을 설치하여야 한다. <개정 2011. 4. 14.>
② 부설주차장은 해당 시설물의 이용자 또는 일반의 이용에 제공할 수 있다.
③ 제1항에 따른 시설물의 종류와 부설주차장의 설치기준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.
④ 제1항의 경우에 부설주차장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하이면 같은 항에도 불구하고 시설물의 부지 인근에 단독 또는 공동으로 부설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다. 이 경우 시설물의 부지 인근의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.
⑤ 제1항의 경우에 시설물의 위치ㆍ용도ㆍ규모 및 부설주차장의 규모 등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할 때에는 해당 주차장의 설치에 드는 비용을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납부하는 것으로 부설주차장의 설치를 갈음할 수 있다. 이 경우 부설주차장의 설치를 갈음하여 납부된 비용은 노외주차장의 설치 외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.
⑥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제5항에 따라 주차장의 설치비용을 납부한 자에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납부한 설치비용에 상응하는 범위에서 노외주차장(특별시장ㆍ광역시장,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설치한 노외주차장만 해당한다)을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(이하 이 조에서 "노외주차장 무상사용권"이라 한다)를 주어야 한다. 다만, 시설물의 부지로부터 제4항 후단에 따른 범위에 노외주차장 무상사용권을 줄 수 있는 노외주차장이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.
⑦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제6항 단서에 따라 노외주차장 무상사용권을 줄 수 없는 경우에는 제5항에 따른 주차장 설치비용을 줄여 줄 수 있다.
⑧ 시설물의 소유자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노외주차장 무상사용권은 새로운 소유자가 승계한다.
⑨ 제5항과 제7항에 따른 설치비용의 산정기준 및 감액기준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.
⑩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은 부설주차장을 설치하면 교통 혼잡이 가중될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하여는 제1항 및 제3항에도 불구하고 부설주차장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다. 이 경우 제한지역의 지정 및 설치 제한의 기준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. <개정 2013. 3. 23., 2018. 12. 18.>
⑪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설치기준에 적합한 부설주차장이 제3항에 따른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의 개정으로 인하여 설치기준에 미달하게 된 기존 시설물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물에 대하여는 그 소유자에게 개정된 설치기준에 맞게 부설주차장을 설치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.
⑫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제11항에 따라 부설주차장의 설치권고를 받은 자가 부설주차장을 설치하려는 경우 제21조의2제6항에 따라 부설주차장의 설치비용을 우선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.
[전문개정 2010. 3. 22.]
2. 고속도로에서 사고 발생 시 무료 견인 하는 방법
고속도로에서 사고 발생시 견인을 요청할 경우 다음 톨게이트까지 가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굉장히 많이 나올 수 있다.
사고 발생 시 즉시 1588-2504 한국도로공사로 전화하면
도로공사의 도움을 받아 무료로 인근 영업소까지 견인할 수 있다.
3. 차량부품, 소모품 교체시기
엔진오일 - 15,000km 또는 1년
에어클리너 - 10,000km ~ 40,000km 고압으로 청소하면 오래 사용가능
브레이크액 - 40,000km 또는 2년
플러그 - 30,000km
플러그 배선 - 60,000km
냉각수 - 100,000km 또는 2년
에어컨 가스 - 교체 불필요
점화플러그 - 160,000km
디퍼런션오일 - 60,000km에 점검
타이어 - 10,000km 마다 위치변경
배터리 - 3년
타이밍벨트 - 70,000km
'편하게 삽시다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Pinside LWS Agent 에 대해 알아보자. (0) | 2020.06.30 |
---|---|
컴퓨터에서 반드시 삭제해야할 프로그램 (0) | 2020.06.30 |
참기름도 종류가 있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? (0) | 2020.06.24 |
위쳐3-와일드 헌트 치트 사용법, 트레이너, 치트 모음 (2) | 2020.06.24 |
농심 육개장 사발면 할인 (0) | 2020.06.24 |